728x90
반응형

2025/03 3

LLM 요약 성능 비교 전략 & 평가 방법

🚀 Claude vs OpenAI: LLM 요약 성능 비교 전략 & 평가 방법1. 개요LLM(대형 언어 모델, Large Language Model)은 텍스트 요약에 강력한 성능을 보이며, 대표적인 LLM 제공자로 Claude(Anthropic)와 OpenAI가 있다. 하지만 두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려면 단순한 감각적 평가가 아니라 객관적인 평가 지표와 전략이 필요하다. 본 글에서는 Claude vs OpenAI의 요약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5가지 전략과 정량적 평가 방법을 소개한다.2. LLM 요약 성능 비교가 어려운 이유Context Window 제한: 원문이 너무 길 경우 모델이 전체 내용을 처리하지 못할 수 있음.요약 방식 차이: Claude와 OpenAI는 Abstractive(생성형 요약)과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3.18

랭체인(LangChain)

🔹 랭체인(LangChain)이란?LangChain은 대형 언어 모델(LLM)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프레임워크입니다. 단순히 프롬프트를 입력받아 응답을 출력하는 방식에서 벗어나, 외부 데이터와 연동하고, 체인을 구성하며, 기억(Memory)과 검색(Retrieval)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🚀 1. 랭체인이 왜 필요할까?기존의 LLM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집니다.기존 LLM의 한계LangChain의 해결 방식모델이 사전 학습된 데이터만 알고 있음✅ 외부 데이터 검색을 통해 최신 정보를 반영대화의 문맥을 오래 기억하지 못함✅ Memory 기능을 활용하여 대화의 흐름 유지API 요청마다 동일한 패턴의 작업 수행✅ 체인(Chain) 구성으로 복잡한 작업 자동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3.17

시맨틱 검색 VS 엘라스틱서치 VS RAG

💡 시맨틱 검색 vs 엘라스틱서치 vs RAG 비교✅ 결론:엘라스틱서치(ElasticSearch) → 키워드 기반 검색 (빠른 검색, 로그 분석, 대량 데이터 처리)시맨틱 검색(Semantic Search) → 의미 기반 검색 (벡터 검색으로 문맥 유사도 높은 문서 검색)RAG(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) → 검색 + AI 응답 생성 (검색된 문서를 AI가 요약 및 자연어로 응답)1. 핵심 차이점 비교표시맨틱 검색 (Semantic Search)엘라스틱서치 (ElasticSearch)RAG (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)목적의미적으로 유사한 문서 검색키워드 기반 문서 검색검색된 문서를 바탕으로 AI가 답변 생성검색 방식벡터 검색 (유사도 기반)역색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3.13
728x90
반응형